[동양 천문학 발전사 1] 중국 천문학의 발전사

반응형

[동양 천문학 발전사 1] 중국 천문학의 발전사



1.  중국 천문학의 발전사


세계 4대 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로 꼽히는 중국 역시 약 5000년 전부터 황하 유역을 중심으로 문명이 발달하면서 원시적이나마 과학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고대 중국의 은 왕조 시대에 쓰였던 점성술적인 기록을 살펴보면 윤달을 만들어 쓸 정도로 역법이 발달해 있었고, 해가 남중했을 때의 길이 를 측정하는 규표가 이미 사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동양 천문학 발전사 1] 중국 천문학의 발전사


중국 역사상을 통틀어 가장 혼란스러운 시기라 할 수 있는 춘추 전국 시 대에는 후세 천문학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모든 개념과 사상이 완전히 자리 잡게 되었다. 일식에 대한 기록은 은대에서도 존재했지만 역법으로 그 날짜 를 확인할 수 있는 최초의 일식 기록은 춘추 시대에 남겨진 것이었다. 전국 시대에 쓰인 책들은 다섯 행성 가운데 특히 공전 주기가 12년인 목성을 중요시했다. 당시에는 하늘을 12개의 등간격 구역으로 나누어 이를 12차라 불렀는데 우리나라에서 축문 등을 쓸 때 이 개념을 빌려 쓰기도 했다. 이는 서양의 황도 12궁과 비슷한 개념일 수 있으나 12차와 황도 12궁이 독자적으로 발전했는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는지에 대한 증거는 현재 어느 것도 발견되고 있지 않다.

B.C. 140년경에 쓰인 회남자(淮南子)에는 자연적인 과정을 거쳐 우주의 삼라만상이 만들어졌음을 설명되어 있는데 이는 고대 서양에서와 달리 우주 만물의 생성 과정을 설명함에 있어 신의 개념이 전혀 개입되지 않았다는 데 주목할 만하다.

이 세상은 원래 ‘태시’라는 원초적인 혼돈 상태로부터 시작하여 우주가 생겨났으 며, 우주는 기를 낳고, 그 기 가운데 맑고 밝은 것은 천(天)이 되고 무겁고 탁한 것 은 지(地)가 된다. 나아가 천지는 다시 음양을 낳고 거기서 4시(四時)가 생기며, 4 시는 다시 만물을 낳는다.

이와 같이 우주 생성론에 있어 자연주의적 입장을 보인 고대 중국인들은 개천설, 혼천설, 선야설 등과 같은 우주론을 주장하였는데 개천설에서는 편 평한 땅이 존재하고 우산 모양의 하늘이 뚜껑처럼 땅을 덮고 있다고 보았고 혼천설에서는 땅을 노른자위, 하늘을 달걀 껍데기와 같다고 보았다. 선야설은 우주를 무한한 곤강으로 보고 그 안에 해, 달, 별들이 서로 다른 길을 가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한 대에 들어서 천추 전국 시대보다 천문 관측이 더 정밀하게 이루어지기 시작했고 해시계나 물시계 등 이미 이전부터 사용되던 장치가 개량되어 사용되어 시각 표시 방법이 정확하게 되었다. 하루를 100각, 또는 12시로 나누는 방법 또한 이 시기에 정착되었는데 이는 후에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미 치게 된다.

한나라 이후 중국을 통일한 나라는 수나라, 당나라로 이어지며 특히 당대 에는 인도의 천문학자가 와서 활동하기도 하였고 인도식 천문 역법인 구집력이 도입되기도 하였다. 특히 당대에는 천문 역산만을 전담하는 관서로 태 사국이 있었는데 이 관청의 직원만도 무려 1067명이나 되었다. 이것은 그 당시 천문학 분야가 얼마나 중요시되고 있었던가를 잘 보여주는 것이다.

1010년부터 1106년 사이의 100년 동안에 걸쳐 송나라의 천문학자들은 다섯 번이나 체계적인 항성 관측을 시행하였다. 그 증거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석각 천문도인 ‘순우천문도’가 남아 있는데 이는 1078년~1085년 사이의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그려진 것이라 하며 1400개의 별이 그려져있다.

13세기 초 칭기즈칸이 중앙아시아를 정복하였을 때 이슬람 천문학의 수 용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이슬람의 천문학은 원나라가 망하고 중국의 왕조가 바뀐 뒤에도 여전히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북경에 있었던 회회천문대를 통해 서양식 천문학이 조금씩 중국으로 들어오게 되었으며, 이중 일부는 조선 세종 때 우리나라로 전파되었다. 중국에서 가장 훌륭한 전통 역법으로 평가되는 수시력은 이 시기에 만들어졌으며 수시력 제작을 위해 장기간에 걸쳐 정밀 천체 관측이 이루어졌다. 이때 만들어진 기구들 중 간의, 고표, 앙의 등은 조선 초 세종 대에 우리나라에 전해져 영향을 끼쳤다.

명나라에서 청나라로 넘어가는 시기에 서양 문물이 중국으로 들어오면서 서양의 수학, 천문학, 기계 등도 함께 소개되었다. 대기의 굴절 현상을 고려 한 계산 등 새로운 서양식 계산법을 채택하여 만들어진 시헌력이 1653년부 터 시행되었고 이것은 종래의 것보다 훨씬 정확하게 천체 운동을 관찰할 수 있게 하였다.

중국의 근대적 천문학자인 매곡성은 서양 천문학에 자극을 받아 1722년 지구 중심설과 케플러의 두 가지 법칙이 포함되어 있는 ‘역상고성’을 펴냈다.


반응형

댓글

본 사이트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